이래AMS(주)노․사, 한국산업은행, KEB하나은행, DGB대구은행, 대구광역시,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노사상생, 원하청 상생, 지역상생」을 목표로 이래AMS 미래형 일자리 도입을 위한 상생협약식을 6.26일 09:30분, 대구시 2층 상황실에서 가졌다. 협약식에는 이래AMS(주) 노・사대표, 경사노위 문성현 위원장, 대구시장을 비롯한 관계기관들도 함께 했다.
이래AMS(주)는 대구의 대표 제조업 기업 중 하나로
’16년 이후 한국GM의 물량 감소와 ’18년 2월, 한국GM 군산공장 폐쇄에 따른 매출감소 등으로 경영상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런 경영상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해외 고객수주에 집중하여 ’18년 11월, 글로벌 기업인 크라이슬러․폭스바겐 등으로 부터 1조 4천억원 규모의 수주를 확보하였으나 설비투자금 확보를 위한 구조 조정 대립으로 노사 분규가 지속되는 등 이래AMS(주)를 비롯한 270개 협력업체의 경영난과 고용위기가 발생하게 되었음.
이에 이래AMS(주)는 ‘18.12월,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장과 권영진 대구시장이 참석한 가운데 ’이래AMS 재도약을 위한 노사 상생‘을 선언하고 이래AMS(주) 노사와 경사노위, 산업은행과 대구시가 노력한 결과, 오늘 이래AMS(주) 자금지원을 위한 금융계약과 미래형 일자리 도입을 약속하는 상생협약식을 갖게 되었다. 이래 AMS 미래형 일자리 성공을 위한 협약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래AMS(주)노・사는 미래 지향적 노사관계를 공고히 하고 회사의 경쟁력 제고에 공동 노력하며 신규 일자리에 청년고용, 원‧하청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원칙으로 하는 미래형 일자리 프로그램을 도입하기로 합의하였으며 한국산업은행은 하나은행, 대구은행과 함께 이래AMS 미래형 일자리가 성공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고, 이후에도 금융자문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기로 했고
이래AMS 신디케이티드론 : 2,258억원 지원(산업은행 1,600억원, 하나+대구은행 658억원)
대구시는 대구은행, 이래AMS(주) 등과 함께 지역 자동차부품 협력업체 활력 증진 지원을 위한 상생펀드 조성에 협력하기로 하였으며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이래AMS 미래형 일자리가 성공하고 대구지역으로 확산되도록 필요한 사회적‧제도적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오늘 협약에 서명한 노사정은 이래AMS 상생협의체를 조만간 구성하여 앞으로 이래AMS 미래형 일자리의 성공과 대구지역 확산을 위한 논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기로 했다.
대구 미래형 상생일자리 : 노사상생 + 원・하청상생 + 지역상생
이번 이래AMS 미래형 일자리 도입 의의를 보면
금융권의 자금지원 2,258억원을 통한 이래AMS(주) 및 협력업체 270개사의 경영 안정 도모와 근로자 43천명의 고용위기를 해소하며 매출 증가로 인한 신규 일자리 1,200명 창출이 예상되며 노사합의로 원․하청 격차 해소에 기여함으로서 제조업 미래 일자리 설계의 모델로서 의미가 크고, 이러한 노사합의 모델이 지역의 주요 기업으로 확산되어 지역단위 상생모델로 발전하리라 기대되고 자동차부품업체 안정적인 투자와 고용 안정화로 지역 자동차부품업체를 중심으로 한 전통산업 부활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협약식에 참석한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문성현 위원장은 “이번 상생협약은 대・중・소 기업간, 원・하청간 극심한 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대구는 물론 우리나라 제조업 르네상스의 모델이 될 것이며, 노사정 상생협약을 통해 방향과 원칙을 명확히 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이번 협약의 상징성을 강조했다.
한국산업은행 성주영 수석부행장은 “금번 신디케이티드론은 침체된 국내 자동차 부품산업 활력제고를 위하여 정책금융기관인 한국산업은행의 주도로, 시중은행인 KEB 하나은행, 대구경북 지역은행인 DGB 대구은행이 함께 금융지원을 하게 되었다는 점이 의미가 있으며, 이번 딜을 통해 앞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자동차부품업체로서 해외에서 더 많은 수주기회를 갖게 되길 기대하며 자동차부품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그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가 일자리에 대해 혁신하고자 한다. 노‧사 상생을 통한 대립 해소로 기업의 경영난과 고용위기를 극복하고, 원・하청 상생을 통해 신규 일자리 창출과 노동 격차를 해소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생모델을 지역주도로 안착시킴으로서 회사의 발전과 고용 안정의 기반을 마련하고 협력업체 동반 성장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며 지역경제 성장 잠재력을 확보하고자 한다.”며 대구 미래형 상생일자리 모델에 거는 기대감을 밝혔다.
|